티스토리 뷰

반응형

신경성 폭식증 정의

 

신경성 폭식증은 섭식 장애의 한 유형으로, 반복적으로 과도한 양의 음식을 빠르게 섭취한 후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구토, 과도한 운동, 하제 남용 등의 보상 행동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주로 젊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며, 유전적, 신경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경성 폭식증 종류

 

정화형 신경성 폭식증

폭식 후 구토, 하제 남용, 이뇨제 남용 등의 정화 행동을 하는 유형입니다.
이는 가장 일반적인 신경성 폭식증의 형태로,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정화 행동을 반복합니다.
정화 행동으로 인해 탈수, 전해질 불균형, 위장 문제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정화형 신경성 폭식증

 

폭식 후 구토, 하제 남용 등의 정화 행동 대신 과도한 운동이나 단식 등의 보상 행동을 하는 유형입니다.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정화 행동 대신 다른 방법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폭식-보상 행동의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이 유형은 정화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나며, 건강상 위험은 다소 낮지만 여전히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폭식증 원인

 

유전적 요인

신경성 폭식증은 유전적 소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족 중 신경성 폭식증 환자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병 위험이 4-10배 높습니다. 
쌍둥이 연구에 따르면,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발병률이 약 70%인 반면, 이란성 쌍둥이는 약 10%로 나타났습니다. 

신경생물학적 요인

신경전달물질 불균형, 뇌 구조 및 기능 이상 등이 신경성 폭식증 발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물질 불균형이 폭식 행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뇌 영상 연구에서는 보상 체계, 감정 조절, 충동 억제 등과 관련된 뇌 영역의 구조적/기능적 이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심리사회적 요인

외모에 대한 사회적 압박, 자아 존중감 저하, 대인관계 문제 등이 신경성 폭식증 발병에 기여합니다.
특히 청소년기에 외모에 대한 사회적 압박이 강해지면서 신경성 폭식증이 많이 발생합니다.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의 정신적 문제도 신경성 폭식증 발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문화적 요인

서구 문화권에서 신경성 폭식증이 더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날씬한 몸매에 대한 강박적 추구와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여성들이 마른 체형을 이상적으로 여기는 문화적 압박이 신경성 폭식증 발병에 기여합니다.
신경성 폭식증 증상


 

신경성 폭식증 진단 기준

 

반복적인 폭식 행동

짧은 시간 내에 평균인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는 폭식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이 때 폭식 행동에 대한 통제력을 잃게 된다.

보상 행동의 반복

폭식 후 체중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자발적인 구토, 하제 남용, 단식, 과도한 운동 등의 보상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폭식과 보상 행동의 빈도

폭식 행동과 보상 행동이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 발생한다.

자아 존중감과 체중/체형에 대한 과도한 집착

자아 존중감이 체중과 체형에 지나치게 좌우된다.
체중과 체형에 대한 지나친 걱정과 집착이 나타난다.

증상 기간

이러한 증상이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된다.

이와 같은 5가지 주요 진단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신경성 폭식증으로 진단됩니다.
신경성 폭식증 치료


 

신경성 폭식증의 진단 과정

 

신경성 폭식증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병력 청취

환자의 폭식 및 보상 행동, 체중 변화, 자아 존중감 등에 대한 자세한 병력을 청취합니다.

신체 검진

체중, 키, BMI 등 신체 계측과 함께 구토로 인한 구강 및 식도 손상, 전해질 불균형 등을 확인합니다.

정신과적 평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DSM-5 진단 기준에 따라 정신 상태를 평가합니다.
우울증, 불안장애, 강박장애 등 동반 질환 여부도 확인합니다.

검사 및 영상 진단

혈액 검사, 심전도, 골밀도 검사 등을 통해 신체적 합병증을 확인합니다.
뇌 영상 검사로 신경생물학적 요인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신경성 폭식증을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폭식증 검사 

 

BULIT-R (Bulimia Test-Revised)

1984년 Smith와 Thelen이 개발하고 1991년 Thelen이 개정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입니다. 2
폭식 행동 28문항, 체중 조절 행동 8문항 등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신경성 폭식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EAT (Eating Attitudes Test)

1979년 Garner와 Garfinkel이 개발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입니다.
식이 태도와 행동에 대한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섭식 장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EDI (Eating Disorder Inventory)

1983년 Garner 등이 개발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입니다.
섭식 장애의 다양한 증상과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는 6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8개 하위 척도로 구성되어 있어 섭식 장애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BITE (Bulimic Investigatory Test, Edinburgh)

1982년 Henderson와 Freeman이 개발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입니다.
폭식 행동과 보상 행동을 평가하는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증상 심각도와 폭식 행동 양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폭식증 예방 / 생활습관

 

생물학적 요인 관리

유전적 소인, 신경생물학적 요인 등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관리를 통해 신경성 폭식증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심리사회적 요인 관리

부정적 자아상, 완벽주의, 대인관계 문제 등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합니다.
건강한 자아상 형성, 긍정적 대인관계 형성, 스트레스 관리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문화적 요인 개선

마른 체형에 대한 사회적 압박, 외모 지상주의 등 사회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건강한 신체상 형성을 위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조기 발견 및 개입

신경성 폭식증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개입이 중요합니다.
가족, 교사, 의료진 등 다양한 관계자들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예방 프로그램 운영

학교, 지역사회 등에서 신경성 폭식증 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습관 형성, 자아존중감 향상, 스트레스 관리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폭식증은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와 관리, 조기 발견 및 개입, 예방 프로그램 운영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건강한 식습관 형성, 긍정적 자아상 형성, 스트레스 관리, 전문가 상담 받기 등의 노력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폭식증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